
필라테스 및 요가복 브랜드 A사의 매출, 민간 필라테스 자격증 취득자의 연평균 성장률이 100%에 도달하는 등 필라테스 관련 지표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주 52시간 근무 제도와, 덤벨 이코노미, 연예인 및 인플루언서들의 운동 관련 콘텐츠의 다양한 미디어 노출 등으로 필라테스, 웨이트트레이닝, 크로스핏 등의 새로운 운동 종목의 인기가 높아진 것으로 그 원인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필라테스의 정의와 역사 등을 공유드립니다.
필라테스의 정의



필라테스(Pilates)는 재활과 자세 교정의 목적으로 신체 유연성, 근육을 발달시키는 운동입니다. 필라테스 창시자 ‘요셉 필라테즈(Joseph Pilates)’의 이름에서 유래합니다.
요셉 필라테스는 독일 태생의 남성으로, 어린 시절 병약한 신체 환경으로 보디빌딩, 체조, 무술 등 평생을 체력을 기르는 데에 바쳤습니다. 나쁜 자세, 비효율적인 호흡 등이 현대적인 생활 방식을 건강 악화의 주원인으로 생각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장비, 사양 등을 갖춘 기구를 설계했습니다.
필라테스의 발전
1914년 세계 1차 대전 당시 영국의 포로수용소에 수감되었던 요셉 필라테스는 수용소의 좁은 공간에서 할 수 있는 운동법을 개발하여 수용자들에게 알렸습니다.
전쟁 후 무용계의 거장 ‘루돌프 반 라반’을 만나 무용계와의 교류가 시작되었으며, 그의 첫 저서 ‘Your Health’에서 필라테스 운동 요법에 대한 설명과 특수 침대 및 의자를 이용한 자세 교정을 강조했습니다.
1925년에는 미국으로 이주하여 아내와 함께 뉴욕에 스튜디오를 설립하여 약 40년간 신체 균형 유지와 척추 지지를 위한 자세 교정 등의 교육에 집중했습니다. 특히, 호흡과 코어 근육의 발달을 위한 운동에 높은 전문성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국내의 정확한 도입 시기 등은 파악이 어려우나 최근 일부 여자 연예인 및 인플루언서들의 TV, 인스타그램, 유튜브 노출을 통해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필라테스의 효과
필라테스는 코어의 힘, 자세, 조화와 몸의 유연성을 개선합니다. 특히, 각 운동 동작을 수행함에 있어서, 높은 정확도 및 호흡과의 조화를 요구합니다.
필라테스는 특별히 강한 복근, 등, 허리 근육을 통해 좋은 자세가 시작된다고 주장합니다. 좌우 근육의 대칭성이 높을수록 척추 역시 정렬을 이루며, 요통 등의 통증을 완화합니다.
또한 바로 앉거나 서는 자세는 신체 스트레스를 줄여 회복력을 강화하고 자신감을 부여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하기도 합니다.
뉴스&블로그 더 보기